브랜드명
상품명
정상가
??%
판매가
매일 사용하는
우리 집 가전제품, 리뷰만 써도
포인트
1,000P
적립
를 드려요!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바닥이나 침대 위를 따뜻하게 해줄 수 있는 온수매트나 전기매트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온수매트를 사야 할까요? 전기매트를 사야 할까요?
전자파나 화재에 안전한 제품은 없을까요?
전기매트와 온수매트의 차이점과 우리 집에 딱 맞는 안전한 온수매트를 고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기매트와 온수매트는 발열 방식이 다릅니다.
전기매트는 매트 속 전기열선에서 발생한 열을 매트로 전달하고, 온수매트는 보일러에서 데운 물이 매트 속 튜브를 통해 순환하며 열을 전달합니다.
쉽게 말해, 전기매트는 자동차 열선시트, 온수매트는 집안의 보일러와 비슷한 원리로, 전기매트는 매트와 조절기의 단순한 구조고, 온수매트는 전기매트처럼 매트와 조절기가 있고 추가로 물을 가열하고 순환시키는 보일러가 있는 구조입니다.
온수매트와 전기매트 모두 사람의 신체와 밀착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파 위험성이 있습니다.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자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측정 되는데, 온수매트, 전기매트 외에도 헤어드라이기, IH 밥솥, 청소기 등이 보통 전/자기장이 많이 발생하는 제품입니다.
다만, 전자파는 30cm만 떨어져도 절반 이하로 급격히 떨어지게 됩니다.
전기매트는 조절기와 매트 전면에서 전자파가 발생하는 반면, 온수매트는 보일러와 조절기에 전자파가 발생합니다.
온수매트도 전자파가 발생하지만 신체와 접촉하는 매트에는 전자파가 없기 때문에 전자파를 걱정하는 분들은 전기매트 대신 온수매트를 많이 구매하는 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전파법에 의거하여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을 시행하고 있는데, 기존에는 휴대전화, 노트북 등에만 적용하고 있던 것을, 17년 7월부터 신체에 밀착 사용하는 온수매트와 전기장판까지 확장, 적용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제품을 시중에 판매하기 위해서 KC 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이 인증을 받기 위한 항목에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이 추가된 것이므로, 사실상 17년 7월 이후 판매되는 제품은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가에서 여러 실험을 통해 무해하다고 판단한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은 전기장 4166V/m, 자기장 833mG입니다.
별개로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에서 전기장 10V/m, 자기장 2mG(인체보호 기준 대비 400분의 1수준)을 통과한 제품에 한해 EMF 인증 마크를 발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EMF 인증 제품은 전자파가 훨씬 적게 나온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은 민간 기관으로 EMF 인증은 의무는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2인용 기준 소비전력은 전기매트는 100~300W, 온수매트는 200~500W으로 온수매트가 더 높습니다.
그렇지만 이는 최대 소비전력이고,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전력 사용량이 줄기 때문에 실제 전기 요금은 소비전력 보다 적게 나옵니다.
실제 테스트 결과, 제품별로 차이는 있지만 전기매트는 소비전력 대비 약 70%, 온수매트는 약 50% 정도의 전력량이 소비되었습니다.
하루 8시간씩 매일 한 달을 사용한다고 가정 시, 200W 전기매트의 경우 최대 1만 원 실제 7000원 정도, 400W 온수매트는 최대 2만 원 실제 1만 원 정도의 전기 요금이 발생합니다.
전기매트는 작동 후 5분 이내, 온수매트는 10~20분 정도 후에 따뜻해집니다.
전기매트는 양은 냄비처럼 온도가 빨리 오른만큼 종료 후에 온도가 바로 내려가는 반면, 온수매트는 물의 비열 때문에 온도가 천천히 올라가지만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된 후에 천천히 떨어집니다.
최고온도 도달 시 전기매트는 흔히 얘기하는 "지지는 느낌으로 뜨끈하다"는 후기가 많습니다.
반면 온수매트는 "포근하게 따뜻해서 개운하다"라는 후기도 있지만 전기매트처럼 뜨끈하지 않다는 후기도 있습니다.
온수매트는 매트 겉면만 관리하면 되는 전기매트와 달리 보일러를 주기적으로 관리해 줘야 합니다.
사용 환경이나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10~30일 주기로 1~2컵의 물을 보충해야 합니다. 물 보충 외에도 2~3개월 간격으로 물을 빼서 청소하고, 물을 교체해야 하는 등 다소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커버분리형 제품은 커버를 벗겨서 세탁을 할 수 있고, 최근 매트 자체를 물세탁 및 드럼세탁기 사용이 가능한 제품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전기매트는 단순한 구조의 특성으로 외력/충격에 의한 파손을 제외하면 큰 고장은 없습니다. 반면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온수매트는 제조사와 사용 정도에 따라 물이 샌다거나 보일러/모터의 고장, 열에 의한 변화/경화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기매트에 비해 상대적 고장률이 높은 것으로 고장 없이 잘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전기/온수매트의 사용목적인 따뜻함에 대해서는 개인차가 있습니다.
이 외에 전기매트는 가격, 사용 및 관리 측면에서 편리하고, 온수매트는 전자파에 대한 안전성이 높습니다.
기준상으로 전기매트도 안전하다고 하지만 나는 그래도 전자파가 덜 나오는 제품을 사용해야 겠다면 온수매트를, 국가기관에서 안전하다고 하니 믿고 써도 되겠다라면 전기매트를 추천드립니다.
온수매트가 따뜻해지려면, 보일러(온수매트 본체)에서 데워진 물을 매트 안의 물관으로 순환시켜 주어야 합니다.
이 물을 순환하는 방식에 따라 자연순환식과 모터순환식으로 나뉩니다.
자연순환식은 데워진 물과 차가운 물의 온도차에 의해서 물이 섞이는 방식이고, 모터순환식은 모터의 힘으로 물을 강제로 밀어내서 순환시키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모터순환식 10분 이내에 예열이 되는 반면, 자연순환식은 따뜻한 물을 전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며, 매트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데에 불리합니다.
제품에 따라 20분 이상 걸리는 경우가 있어, 사용하기 전에 미리 작동시켜 두는 것이 좋습니다.
두 방식 모두 목표 온도 도달 시에는 전력 사용량이 줄어들어 실제 소비전력은 표시된 소비전력 대비 50~60% 수준입니다.
모터가 있는 방식이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할 것 같지만, 자연순환식은 물이 섞이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열 손실이 높아 모터순환식 대비 소비전력이 높습니다.
하루 8시간씩 한 달을 사용한다고 가정 시, 250W 모터순환식의 경우 7천원 정도, 400W 온수매트는 1.1만원 정도의 전기 요금이 발생합니다.
자연순환식은 예전에 사용하던 초기 보일러와 비슷한 원리로, 구조상 더 높은 열과 압력에 노출되어 상대적으로 경화나 변형되기가 쉽습니다.
제품에 따라 또는 사용 관리를 잘해서 오랫동안 고장 없이 사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상대적으로 고장률이 높고 수명이 짧은 편입니다.
온수매트에 대한 고장 후기도 대부분 자연순환식 제품의 사례입니다.
또한, 자연순환식의 경우 수압차에 의해 발생하는 물 끓는 소리, 물 출렁이는 소리 등이 나기도 합니다.
모터순환식이 처음 출시되었을 때에는 모터 소음이 커서 불편했지만, 최근에는 대부분 저소음 모터를 탑재해 일반 백색가전 수준의 소음으로 거의 들리지 않습니다.
자연순환식과 비교했을 때 모터순환식의 유일한 단점은 가격이 비싸다는 것입니다.
자연순환식 제품이 주로 10~20만원대인 반면, 모터순환식은 20~40만원대입니다.
하지만 최근 제품의 종류가 늘면서 저렴하게는 10만원대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모터순환식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온수매트는 가성비도 중요하지만, 예열시간, 소비전력, 고장률, 소음, A/S 등이 더 중요합니다.
따라서, 너무 저렴한 자연순환식 보다는 모터순환식의 제품의 구매를 추천드립니다.
온수매트를 어느 곳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1) 침대 위에 놓고 쓰는 일반매트
2) 거실/바닥에 놓고 쓰는 카페트매트
3) 침대/바닥 겸용 가능한 제품으로 나뉩니다.
침대용의 경우 두께가 얇고 면 등의 부드러운 소재, 바닥용의 경우 쿠션감이 있고 장판 같은 소재, 겸용의 경우 침대용과 비슷한 소재에 두께는 조금 더 두껍습니다.
두꺼운 카페트 매트를 침대에서 사용하면 매트리스의 쿠션감을 느낄 수 없고, 침대용 얇은 슬림매트를 바닥에서 사용하면 사용 중 밀리기 때문에 용도에 맞춰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조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침대용은 세로 길이는 180cm ~ 210cm 정도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사용하는 인원수에 따라 가로 길이의 차이만 있으며 80~110cm 이하이면 1인용, 140~160cm 이하이면 2인용 그 이상은 3인 이상 사용 가능한 바닥용으로 구분됩니다.
최근에는 2인용과 바닥용 중간 사이즈인 160~170cm 정도의 2.5인용 제품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1인용은 싱글, 2인용은 더블, 2.5인용은 킹사이즈 침대 크기와 비슷하므로, 사용하는 침대 사이즈에 맞춰서 선택하면 됩니다.
땀, 이물질 등이 묻거나 특히 아기방에서 사용할 때 세척이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카페트매트형은 특수 코팅된 바닥재를 사용해서 오염에 강하고 오염이 되어도 쉽게 닦아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형은 물세탁이 가능한 일부 제품을 제외하면 매트 위를 털어내거나 가볍게 닦아내는 정도의 청소만 가능해 커버 분리형 제품을 사용하는 걸 추천합니다. 커버 분리형 제품이 2~5만원 정도 더 비싸지만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세탁하기 편해 만족한다는 후기가 많습니다.
온수매트를 2명 이상이 사용할 때, 사용하고 싶지 않거나 서로 원하는 매트 온도가 다르다면 좌우 분리난방 기능이 있는 제품을 추천합니다. 이 기능은 실제로 소비자 만족도가 매우 높은 기능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전기매트와 달리 분리난방 기능이 있어도 개별 온도조절이 안되는 제품이 있어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제품은 좌, 우 한쪽만 켜고 끌 수 있는 분리난방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좌, 우 분리난방이 되면서 각자 원하는 온도를 조절하며 사용하고 싶다면 분리 난방 여부와 개별 온도 조절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고 구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온수매트는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가 있으며, 신체와 밀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성을 더 중요하게 봐야 합니다.
꼭 필요한 안전기능은 동파방지, 수평안전, 과열방지, 자동전원차단, 수위센서 5가지로 볼 수 있는데,
동파방지는 보일러 팽창을 방지, 수평안전은 누전 차단, 과열방지, 자동전원차단, 수위센서는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필수 기능입니다.
대부분의 제품이 이 기능들을 갖추고 있지만 구매 전 한 번 더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온수매트는 보일러, 조절기는 30cm 이상의 거리를 두면 전자파가 1/10로 줄어듭니다. 가급적 머리가 아닌 발 쪽으로 놓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전자파는 온도를 높일수록 취침 전에 이불을 덮어 온도를 높여 놓고, 취침 시에는 온도를 낮추거나 수면모드를 사용하면 전자파가 1/2이하로 줄어듭니다.
3) 매트 위에 얇은 이불이나 요를 깔기만 해도 저온화상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라텍스는 소재의 특성상 열에 취약합니다. 매트의 열로 인해 라텍스가 딱딱해지거나 변형될 수 있으니 라텍스 소재의 침대에서는 사용을 지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취침 시 시간을 예약하여 자동으로 꺼지게 하는 타이머 기능과 집안에 아이가 있는 경우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버튼 잠금 기능은 유많은 사용자들에게 만족도가 높은 기능입니다.
고여있는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내부의 청결이 걱정되는 경우 클린필터나 살균모드가 있는 제품을 구매하는 것도 좋습니다.
다만, 온수매트는 부가기능에 따라 가격차이가 많이 발생하므로 꼭 필요한 기능만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14
김소희
신고
eqm562랑 eqm561 차이가 뭘까요?
2021.11.30
답글달기
좋아요 0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보일러 컬러차이 입니다! 561은 차콜그레이, 562는 내추럴컬러입니다!
2021.12.02
답글달기
좋아요 0
이대희
신고
그럼 카본이랑 온수랑은 뭐가 더 좋나요?
2021.11.07
답글달기
좋아요 0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카본매트는 전기매트와 유사한 구조로 열선을 감싼 재질이 카본(탄소)이라는 점, 전자파가 덜 발생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용환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카본과 온수 중 어떤 것이 더 좋다고 말씀드리긴 어려우나, 카본매트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관리가 쉬우며, 온수매트는 온도 유지력이 좋다는 특징이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1.11.15
답글달기
좋아요 0
지니
신고
자동 물빼기 기능여부가 많이 도움 될까요?
2021.10.24
답글달기
좋아요 0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물 교체가 자주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필수기능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사용자에 따라 편리하게 쓰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2021.11.03
답글달기
좋아요 0
드림지원
신고
불만제로에 나왔던 거영테크꺼는 어떤가요?
2021.03.18
답글달기
좋아요 0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이지만, 부가기능이나 디자인 선호도는 다소 떨어집니다.
2021.03.18
답글달기
좋아요 0
문명
신고
안녕하세요. 노써치에서 도움 받은 게 많아서 유용한 정보 공유하려고 왔습니다! 지금 당장은 어렵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결국 다루게 될 내용입니다. 스마트홈이 점점 대중화되면서 온갖 가전들이 다 iot 기기가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iot에 관해 초보자들이 저지르는 실수가 있어요. 바로 '연동성'을 모른다는 겁니다. 많은 가전제품 회사들도 이것을 잘 모릅니다. 노써치에서 이것을 알고 앞으로 제품 소개할 때 같이 다루면 좋을 것 같아서 글 씁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uiSSkANL5E 별 기능이 없는 이 온수매트가 스마트홈 만드는 사람들한테는 인기가 있는데요. 대략적인 건 영상을 보시면 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oTZkjuKZ_Q 이 영상은 연동성 개념을 이해하는 데 좋습니다. 스마트홈 구성에는 [연동성]과 [정전 보상]이라는 이 두가지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는 게 필수적입니다. (저는 이 유튜브, 온수매트와 아무 관련 없는 스마트홈 초보자일 뿐입니다.)
2020.12.20
답글달기
좋아요 0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2020.12.20
답글달기
좋아요 0
yyuny
신고
스팀보이 s90모델이라던가 신모델도 막 나왔는데 그래도 글에쓰신모델을 제일 추천하실까요?
2020.12.17
답글달기
좋아요 0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스팀보이의 추천제품인 ST20은 쿠션형이며, 말씀하신 모델인 SL90은 초슬림형으로 매트에 차이가 있습니다. 초슬림형 제품을 선호하신다면 SL90도 좋은 선택입니다. 다만 현재 퀸사이즈 온라인 최저가 기준 약 1만원정도 더 비싸긴 합니다.
2020.12.20
답글달기
좋아요 0
댓글 더보기
노써치픽
노써치가 추천하는 온수매트를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