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매직IHR-BF40C
91~109만원
가격
2.8
91~109만원
화구
4.7
인덕션 4구
화력
4.5
매우강함
조작편의
3.5
편리한편
부가기능
3
보통
전기레인지
Jason
2022.11.13 업데이트
인덕션은 조리 속도가 빠르고 청소가 편리한 큰 장점 때문에 주방 가열기구의 대세가 되고 있습니다. 그 중 3구 인덕션이 가장 대중적이지만, 식구가 많아 다양한 조리를 동시에 해야 하거나 조금 더 폭 넓은 사용을 원하는 분들을 위한 4구 이상의 인덕션도 수요가 있습니다.
4구 이상 인덕션은 보통 프리존(멀티존)이라 불리는 기능이 탑재되는데, 각 화구가 필요에 따라 연결돼 큰 화구를 만드는 기능을 말합니다. 보다 크고 넓은 전골냄비 등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를 위치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편의성이 뛰어납니다.
프리존의 성능은 분할 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더 잘게 분할될수록 다양한 크기와 위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며, 화구 수의 의미가 점점 사라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4화구 이상 인덕션에서는 프리존의 적용 범위와 분할 수가 중요해지며, 그에 따른 각 영역별 최대 출력이 성능의 척도가 됩니다. 따라서 이런 기준을 우선하여 23년 현재 판매 중인 350여 개 제품을 비교하여 선정했습니다.
❌
어떠한 대가도 받지 않았습니다!
제품협찬, 광고비 등 어떠한 대가도 받지 않았으며, 철저하게 소비자 입장에서 23년 3월 기준 판매되고 있는 350여개 제품을 비교하였습니다.
🔍
핵심성능을 스펙과 후기를 통해 검토!
제조사의 스펙정보, 공공기관의 전문자료, 실 사용자의 후기 등을 검토하였으며, 가열성능/프리존성능/사용편의/가성비를 기준으로 추천제품을 선정하였습니다.
노써치픽 📌
1
인덕션 - 4구이상 베스트픽
91~109만원
가격
2.8
91~109만원
화구
4.7
인덕션 4구
화력
4.5
매우강함
조작편의
3.5
편리한편
부가기능
3
보통
가정당 전력 허용량이 4,000W 수준으로 제한되어 있는 우리나라 여건상, 일반적인 인덕션의 최대 출력은 3,300~3,400W으로 출시됩니다. 하지만 각 개별화구의 출력은 대부분 2,000W 이하로 구성되는데, 모든 화구의 코일 크기를 크게 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반면 이 제품은 전체최대출력, 개별 4화구 모두 3,300W으로 일반가정에서 인덕션으로 낼 수 있는 최대 출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좌우 각각 2개화구는 1개의 화구로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프리존기능이 탑재 되어 있는데, 프리존 최대 출력 또한 3,300W의 최대출력을 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우수한 출력과 4개의 화구, 프리존 까지 탑재하고도 100만원이 안되는 가격은 매우 매력적으로, 고급형 3구 제품보다도 저렴한 가성비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는 쇼트사의 상판과, 원터치+슬라이드의 편리한 조작, 타이머, 일시정지 등 각종 편의기능들도 충실합니다.
다만, 가장 고가 제품군임에도 불구하고 블루 계열의 단일 색상만을 지원하는 점은 아쉬운 점입니다.
3구 제품과 비슷한 가격대로 4구 인덕션을 원한다면 우수한 출력과 합리적인 가격을 자랑하는 이 제품을 추천합니다.
2
인덕션 - 4구이상 프리미엄픽
160~192만원
가격
2
160~192만원
화구
4.8
인덕션 4구
화력
4.5
매우강함
조작편의
4.3
매우편리
부가기능
4.5
매우다양
화구가 늘어남에 따라 가격이 확 뛰는 인덕션 특성상 4구 이상 인덕션은 화구 수 만으로도 이미 프리미엄군에 속하는데요, 그 중에서도 가장 우수한 화력과 편의 기능을 가진 프리미엄 오브 프리미엄 제품입니다.
먼저, 국내 제품 중 최고인 전체 최대 7,400W, 모든 개별화구 3,200W의 압도적인 출력이 무엇보다 돋보입니다.
우리나라는 가정당 전력 허용량이 4,000W 수준으로 정해져 있어 일반적인 인덕션은 3,300~3,400W을 최대치로 출시됩니다. 하지만, 이 정도로는 4구 이상의 화구를 동시에 높은 출력으로 활용하기 어려운데, 7,400W의 최대 출력을 가능케 하여 모든 화구마다 매우 우수한 화력을 낼 수 있게 하였습니다.
다만, 어쩔 수 없이 용량 증설 배선 공사가 필요한데, 혹시 이사를 앞두고 있거나 여건상 배선공사가 어려운 경우에는 4,000W 전력 제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좌우 4분할씩, 총 8분할의 올 프리존(플렉스존)을 탑재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와 자유로운 위치의 사용을 가능케 하였습니다.
그 외 에도 탈부착이 가능한 다이얼 조작, 편리한 조리에 도움이 되는 쿡팟과 쿡센서(별도 구입), 현존하는 모든 편의기능들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인덕션 구매 예산이 넉넉하거나 가격에 상관없이 최고의 제품을 원한다면, 국내 유일의 7,400W 압도적 출력과, 8분할 프리존을 갖춘 이 제품을 추천합니다.
픽 선정 시 고민되었던 제품들
SK매직
IHRBQ40E
220~264만원
배선 공사 없는 제품 중 최고 성능
전체 동시 출력이 3,400W으로 전체 화구를 동시에 사용할 때는 픽 제품 대비 화력이 부족하지만, 배선 증설이 필요 없어 별도의 공사가 부담스럽다면 추천하는 모델입니다. SK매직 최고의 모델로써, 전체 영역이 프리존이며 모든 화구의 출력이 3,400W으로 픽 제품과 더불어 가장 우수한 수준입니다.
픽 제품 비교
추천 제품 선정 시 고려한 요인
동시 최대 출력
3,000W 이상인가?
개별 화구 출력
대화구 최대 출력이 2,000W 이상인가?
소화구 최대 출력이 1,500W 이상인가?
가격
고려하지 않은 요인
설치 비용
설치 방식에 따른 가격 차이는 고려하지 않음
댓글60
Bons~
신고
안녕하세요. 삼성 비스포크 인덕션을 보고 있는데요. 조작방식이 슬라이드 터치 방식이라 좀 불편하다는 평이 있어서요. 다이얼 방식과 비교해서 많이 불편할까요?
2023.03.20
답글달기
좋아요 1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Bons님 노써치 인덕션 담당 CM 입니다. 슬라이드 터치 방식이라 할지라도 대부분 원터치로 원하는 단계를 바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함에 대해서는 크게 염려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물론 다이얼 방식이 조금 더 편리하다고 생각은 합니다. 다만 제품 전체가 글래스 상판으로 되어 있는 인덕션 특성상 다이얼은 탈부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하는데, 가격대가 높습니다. 다시 말해 가장 고가 라인에 적용되는 것이 다이얼 방식입니다. (본체가 프리스탠딩으로 되어 있는 1구 ,2구 인덕션은 다이얼 방식이 많습니다.) 정리하면, 터치 방식도 원터치로 조작이 가능하기에 불편함을 느낄 수준은 아니며, 다이얼 방식이 편리한 건 맞지만 대부분 고가 제품에 적용되는 프리미엄 방식이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2023.03.20
답글달기
좋아요 0
박찬우 Park
신고
1. Sk매직의 IHR-BF300을 보고 있는데 베스트 픽과 비교해서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화력은 BF300쪽이 더 강해보이는데 베스트 픽과 비교해서 어떤지 궁금합니다. 2. lg전자의 인덕션은 일정 온도가 되면 과열방지가 작동해서 지속적으로 음식을 조리하는데 무리가 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실제론 어떤한지 궁금합니다.
2023.03.07
답글달기
좋아요 1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박찬우님 노써치 전기레인지 담당 CM 입니다. 1. 문의 주신 IHR-BF300은 화력면에서는 최고 수준의 제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화구는 물론 중화구와 소화구까지 3000W 이상의 출력을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름도 올파워 입니다.) 다만 그 만큼 가격이 비싸지기도 하고, 대화구를 제외하면 중화구와 소화구는 2000W 이상만 되더라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기도 합니다. 또한, 각 화구의 출력이 높아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출력은 3400W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모든 화구를 최대 출력으로 사용할 수 없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그래서 성능과 가격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현재 픽 제품을 선정했습니다. 그러나 어떤 화구를 사용하더라도 매우 강한 화력을 사용하고 싶다면 문의 주신 모델이 좋은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2. LG 뿐 아니라 대부분의 제조사는 인덕션에 과열방지 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전기레인지 과열로 인한 화재 사고를 막기 위해 필수적으로 탑재하는 안전기능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LG 만의 특징이라 보기는 어렵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3.08
답글달기
좋아요 0
류현석
신고
안녕하세요. 인덕션2구 하이라이트1구로 된 3구 제품구매하자고 합니다. 같은 3구제품이라도 가격대가 다양하더라구요. lg제품으로 추천 부탁드립니다.
2023.01.07
답글달기
좋아요 0
달아범
신고
혹시 1구짜리는 추천하실만한게 없을까요? 인덕션/하이라이트 휴대성은 고려하지 않습니다(다용도실에 두고 쓸 용도라서)
2022.12.12
답글달기
좋아요 0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달아범님 전기레인지 담당 CM 입니다. 1구 인덕션은 저가형 제품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다만, 모든 제품들의 제조가 중국에서 이루어지기에 장기간 사용할 생각이라면 추천 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추천 드릴 브랜드는 삼성, LG, 린나이, 쿠쿠 정도인데 소비전력과 출력은 모두 동일합니다. 이 중 가장 추천 드릴 브랜드와 제품은 3가지 정도로 뽑을 수 있는데, 1. 삼성 더 플레이트 1구 : 12~13만원 깔끔한 디자인과 31x32의 면적이 어디에 두어도 공간효율이 괜찮습니다. 출력은 2,000W로 일반 3구 인덕션의 중화구 정도의 화력입니다. 다이얼 방식으로 조작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고, 상판 브랜드는 가장 인기있는 SCHOTT사 제품입니다. 2. LG 포터블 1구 인덕션 디오스 HEI1V9 : 9~10만원 출시된지는 오래 되었지만, 큰 개선이 없는 1구 인덕션 특성상 아직도 LG는 이 제품 하나로 1구 인덕션을 대표하고 있습니다. 출력, 상판재질 모두 삼성 더 플레이트와 동일한데, 가격은 2~3만원 정도 더 저렴합니다. 차이가 있다면 면적이 30x41cm 로 세로로 길쭉하다는 것입니다. 이는 터치식 조작부가 있기 때문인데, 만약 다이얼 방식을 선호한다면 삼성 제품을, 터치 방식을 선호한다면 LG를 추천드립니다. 또한, LG는 검은색 밖에 없습니다. 린나이는 이들 제품보다 저렴하지만 출력이 더 낮고, 쿠쿠는 삼성의 디자인과 상당히 유사하지만(3구 인덕션은 비스포크와 판박이일 정도) 상판 브랜드가 NEG로 조금 밀립니다. 아주 저렴한 제품들은 고장에 대한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10만원 정도의 예산을 잡으시는 것을 추천 드리며, A/S가 원활한 대기업 제품을 권해 드립니다.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달아범님, 노써치에 많은 관심 가져주셔서 늘 감사하고 있습니다^^ 연말 따뜻하게 잘 마무리 하시길 바랍니다!
2022.12.14
답글달기
좋아요 0
김유진
신고
삼성인덕션중 대화구가 동그란거랑 선이 있는거랑 뭐가 다른가요? 제품 NZ63B6527XW는 대화구가 동그란선이 있고 NZ63B8708XH는 대화구에 가로선이 있어요. 뭐가 다른지 모르겠어오. 저희집은 팬이라 냄비 28cm도 많이 써서 대화구에 큰 냄비도 얹을수있는걸 사야하는데 둘중 어느게나을까요?
2022.10.27
답글달기
좋아요 1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김유진님 노써치 인덕션 담당 CM입니다. 중요한 부분을 잘 알아보셨습니다. 인덕션이 생긴 것이 비슷하면서도 참 헷갈리게 되어 있어 저도 조사할 때마다 곤혹스럽습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집에 그 정도 지름의 냄비나 팬이 많다면 동그란 선이 '두 개' 있는 것으로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삼성 인덕션은 기본적으로 대화구 지름이 21~23cm 에 맞춰서 나옵니다. 그런데, 듀얼링 확장형 화구라는 이름으로 28cm까지 확장되는 대화구로 출시되는 모델도 있는데, 이 영역의 표시를 동그란 원 2개로 표시해 놓은 것입니다. 삼성 뿐 아니라, 다른 브랜드의 인덕션도 동그란 원이 두 개가 있다면 확장형 화구로 27~28cm 정도로 확장되는구나 하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런 정보를 상세페이지에 적어놓은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어, 소비자들이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데 제조사에서 각 화구의 지름 정보를 전면에 표기해 놓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그래도 삼성의 경우는 매우 친절한 편입니다 ㅎㅎ. 더 정확한 각 화구의 지름을 알고 싶으시다면, 삼성의 경우 상세 페이지 밑에 설명서를 다운 받으시면 가장 마지막 페이지 쯤에 규격이 나와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10.27
답글달기
좋아요 0
treest****
신고
인덕션 lg제품이나 밀레 중에 고민인데 어는 회사 제품이 나을까요?
2022.10.22
답글달기
좋아요 0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노써치 인덕션 담당 CM 입니다. 밀레의 네임밸류가 워낙 뛰어나다 보니 고민이 되실 겁니다. 어려울 건 없습니다. 어떤 제품이 더 뛰어나다 판가름 할 수 없을 정도로 두 브랜드 모두 성능이 우수하거든요 다만, 이 차이를 염두에 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전체 동시 출력으로 인한 배선 공사 밀레는 국내 허용 전력량으로 제품이 나오지 않기에, 7,000W 이상의 높은 총 소비전력을 사용합니다. 우리나라 가정은 3,400~4,000W 정도의 전력량만 허용하는데, 그래서 별도의 배선 공사가 필요합니다. 당연히 비용도 추가 됩니다. LG 제품은 국내 실정에 맞추어 나오기 때문에 3,400W를 넘어가지 않는 제품으로만 현재 출시 중입니다. 2. 그로 인한 개별화구의 화력 차이 이런 이유로 당연하게도 밀레 제품의 화력이 셀 수 밖에 없습니다. 단, 이것은 동시에 여러개 화구를 강한 화력으로 사용하냐의 문제인데, 하나의 화구만 사용했을 경우에는 차이가 미미합니다.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3구 제품을 예로 들면, 화구 하나만 사용했을 경우 : LG 1번 화구 최대 출력 3,400W 밀레 1번 화구 최대 출력 3,400W 이렇게 됩니다, 그런데 3구를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 LG 1번화구-1,500W / 2번-1,000W / 3번-900W 밀레 1번화구-3,000W / 2번-2,000W / 3번-2,000W 이런 식으로 총 소비전력 하에서 제품 별로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분배 됩니다. (이건 예시일 뿐이며, 실제로는 제품마다 모두 다릅니다.) 즉, 정리하면 개별화구의 최대 출력은 3,300~3,400W 수준이라 하나의 화구만 사용할 때는 차이가 없지만, 여러 개의 화구를 동시에 사용할 때는 밀레의 제품이 뛰어나다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가정에서의 사용기를 살펴보면 셰프나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모든 화구를 매우 강한 화력으로 동시에 사용할 일이 희소하다 판단 됩니다. 때문에 환경과 기호에 따른 판단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A/S LG 제품은 국내 제품인 만큼 부품수급이나 서비스를 받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합니다. 또, 케어십 서비스(핸드폰 파손 보험 같은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를 가입할 수 있는 점도 메리트입니다. 밀레는 전 제품에 대해 2년 보증을 하고 있지만, 아무래도 국내 대기업에 비하면 접근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판단 됩니다. 4. 색상 밀레는 전 제품이 어두운 계열이 많습니다. LG도 그랬으나, 현재 밝은 주방의 트렌드에 맞추어 오브제 컬렉션에 한해 화이트 톤의 제품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인테리어까지 고려한다면 이런 차이점도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정도 차이점을 생각해서 판단하시면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10.24
답글달기
좋아요 0
댓글 더보기
노써치픽
다른 타입의 전기레인지도 확인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