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레인지

전기레인지

최고의 하이브리드 전기레인지

CM_Jason

Jason

2023.02.10 업데이트

주방 가열기구는 인덕션으로 그 중심이 옮겨가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열선을 이용하는 하이라이트에 대한 필요성도 꾸준히 존재합니다. 인덕션의 단점인 전용용기 사용과, 비싼 가격 때문입니다.

그에 반해 하이라이트는 가열방식이 가스불에서 전기열선으로 바뀐 것 뿐이기에 용기사용도 자유롭고, 가격도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니즈를 반영해 인덕션+하이라이트를 합친 하이브리드 제품도 활발히 판매 중입니다.

화구 구성을 어떻게 하느냐, 메인 대화구를 어떤 방식으로 하느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며 이는 각 구매자의 기호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만, 어떤 화구 구성을 취하더라도 동시 최대 출력과 각 개별화구의 최대 출력은 제품의 성능을 가르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따라서, 출력이 우수한지, 인덕션 대신 택할만큼의 가격 메리트가 있는지 등을 가장 우선으로 기준해서 23년 현재 판매중인 200여개 제품을 비교 검토 해 선정했습니다.

어떠한 대가도 받지 않았습니다!

제품협찬, 광고비 등 어떠한 대가도 받지 않았으며, 철저하게 소비자 입장에서 23년 3월 기준 판매되고 있는 200여개 제품을 비교하였습니다.

🔍

핵심성능을 스펙과 후기를 통해 검토!

제조사의 스펙정보, 공공기관의 전문자료, 실 사용자의 후기 등을 검토하였으며, 가열성능/기능/사용편의/가성비를 기준으로 추천제품을 선정하였습니다.

노써치픽 📌

인덕션 추천 & 리뷰 : 하이브리드 TOP 2


1

하이브리드 베스트픽

nosearchPick_LG전자_BEY3GST2_디오스

LG전자디오스BEY3GST2

87~104만원

가격

2.9


87~104만원

화구

4


하이브리드 3구

화력

4.5


매우강함

조작편의

3.5


편리한편

부가기능

4


다양

인기 조합인 인덕션2+하이라이트1 제품 중, 성능과 가격의 합이 가장 좋은 제품

하이브리드 제품을 찾는 대부분의 이유는 사용용기에 제한 없는 하이라이트도 보조로 1구정도 있길 바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대중적인 하이브리드 조합은 메인 대화구는 인덕션으로, 나머지 두 화구는 인덕션, 하이라이트로 구성된 조합입니다.

즉, 인덕션이 메인이므로 가장 중요한 성능인 최대출력 또한 인덕션을 기준으로 우선 평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 면에서 이 제품은 인덕션 대화구 최대 출력이 3,300W로 [인덕션2구+하이라이트1구] 제품 중 가장 우수한 화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덕션 중화구는 1,300W, 하이라이트는 1,050W의 최대출력을 갖추고 있는데, 이 또한 하이브리드 제품 중에서는 가장 우수한 편입니다.

한편 하이브리드는 올 인덕션 제품보다 저렴한 합리적이;

그 외 원터치+슬라이드 조작방식, 타이머, 앱 연동, 용기효율알림 등 편리한 부가기능도 충실하며 가장 우수하다 평가 받는 쇼트사의 상판을 탑재한 것도 돋보입니다.

가장 대중적인 화구 구성과 가장 우수한 화력, 그리고 매우 합리적인 가격대로 인덕션을 메인으로 하는 하이브리드를 고민한다면 가장 추천하는 제품입니다.

*

픽 선정 시 고민되었던 제품들

spareProduct_LG전자_BEY3GSTU_디오스

LG전자

디오스 BEY3GSTU

72~86만원

출력은 조금 낮지만, 더 저렴한 제품

가장 인기가 많은 모델로 매우 저렴한 가격이 장점입니다. 상판 브랜드가 EUROKERA이며, 인덕션 출력이 3,000W로 픽제품 대비 조금 아쉽습니다. 하지만, 저렴한 가격에 더 초점을 맞춘다면 추천하는 모델입니다.

spareProduct_SK매직_ERA-HBTS3_터치온

SK매직

터치온 ERA-HBTS3

92~110만원

인덕션 화구가 프리존인 제품

인덕션 화구에 프리존이 적용된 점이 특징으로, 매우 저렴한 가격대가 장점입니다. 출력이 3,000W로 픽 제품 대비 조금 부족하지만, 프리존 기능이 끌린다면 추천하는 모델입니다. 

2

하이브리드 가성비픽

nosearchPick_린나이_HYF3200N_U

린나이HYF3200N

27~32만원

가격

4


27~32만원

화구

4


하이브리드 3구

화력

3.5


강한편

조작편의

2.5


불편한편

부가기능

1.5


매우적음

인덕션 2구 하이브리드 제품 중 가장 뛰어난 가성비

린나이 HYF3200N은 가장 대중적인 하이브리드 타입인덕션 2구 + 하이라이트 1구 제품 중 가성비가 가장 뛰어난 모델입니다.

하이브리드 전기레인지에서 중요한 것은 인덕션 화구의 출력과 크기, 그리고 보다 저렴한 가격입니다. 린나이 HYF3200N은 인덕션 두 화구 모두 평균 이상의 2,000W 출력을 가지고, 각 화구 직경은 21cm로 대부분의 용기를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습니다.

무엇보다 준수한 출력과 화구 크기를 갖추고, 이와 비슷한 수준의 제품 대비 매우 저렴한 가격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따라서 우수한 출력, 준수한 화구 크기, 매우 저렴한 가격을 가진 린나이 HYF3200N 을 가장 뛰어난 가성비 제품으로 추천합니다.

*

픽 선정 시 고민되었던 제품들

spareProduct_SK매직_ERA-BTH30_U

SK매직

ERA-BTH30

38~46만원

하이라이트가 2개인 제품

인덕션 출력이 픽 제품 대비 조금 아쉽지만, 중화구 하이라이트 출력은 더 우수합니다. 구비되어 있는 용기 환경상 하이라이트 사용 빈도가 더 높다면 고려해 볼 제품입니다.

spareProduct_쿠쿠전자_CIHR-A301FB_U

쿠쿠전자

CIHR-A301FB

38~46만원

하이라이트 2개 제품 중 가장 저렴한 편

하이라이트 2개 하이브리드 전기레인지 중 가장 뛰어난 가성비를 찾는다면 추천하는 제품입니다. 다만 다소 오래된 2014년 모델인 점이 조금 아쉬운 점으로 디자인이나 출시년도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면 추천하는 모델입니다. 

픽 제품 비교

제품 정보

베스트
BEY3GST2

LG전자

디오스

BEY3GST2

87만~

자세히 보기

가성비
HYF3200N

린나이

HYF3200N

27만~

자세히 보기

화구구성

인덕션2구,하이라이트1구

인덕션2구,하이라이트1구

최대동시출력

3400 W

3400 W

1화구 타입

인덕션

인덕션

1화구 출력

3300 W

2000 W

2화구 타입

인덕션

인덕션

2화구 출력

1300 W

2000 W

3화구 타입

하이라이트

하이라이트

3화구 출력

1050 W

1800 W

상판브랜드

SCHOTT

EUROKERA

추천 제품 선정 시 고려한 요인

동시 최대 출력

3,000W 이상인가?

최대 출력이 3,000w은 넘어야 답답하지 않습니다. 최근 대부분의 제품은 이 기준을 통과하지만, 아닌 경우 비교 군에서 제외 하였습니다. (3,400W를 초과할 경우 일반 가정내 전력 허용량을 넘어가므로 별도의 배선 공사가 필요합니다.)

하이라이트 출력

대화구라면 2,000W 이상/ 소화구라면 1,000W 이상

하이라이트는 기본적으로 가스레인지보다 화력이 약합니다. 가스레인지 대비 답답하지 않을 수준의 화력을 가지려면 최소한 2,000W 이상의 출력을 가져야 합니다. 소화구라면 1,000W 이상이 좋습니다.

인덕션 출력

대화구라면 2,000W 이상/ 소화구라면 1,500W 이상

보통 하이브리드 제품의 대화구는 가장 빠른 조리속도를 가진 인덕션 화구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대화구의 출력은 가장 중요한데, 부스터 기준으로 최소한 2,000W 이상은 되어야 인덕션으로써의 빠른 조리속도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소화구라면 1,500W 이상이면 좋습니다.

고려하지 않은 요인

설치 비용

설치 방식에 따른 가격 차이는 고려하지 않음

인덕션은 빌트인과 프리스탠딩 방식으로 설치 타입이 나뉘는데, 이에 추가되는 비용은 제조사와 판매처마다 다르고, 주방 환경에 따라 난이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댓글60

등록

Bons~

신고

안녕하세요. 삼성 비스포크 인덕션을 보고 있는데요. 조작방식이 슬라이드 터치 방식이라 좀 불편하다는 평이 있어서요. 다이얼 방식과 비교해서 많이 불편할까요?

2023.03.20

답글달기

좋아요 1

답글 1개 더보기

Profile Image
Comment Profile Image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Bons님 노써치 인덕션 담당 CM 입니다.

슬라이드 터치 방식이라 할지라도 대부분 원터치로 원하는 단계를 바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함에 대해서는 크게 염려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물론 다이얼 방식이 조금 더 편리하다고 생각은 합니다. 다만 제품 전체가 글래스 상판으로 되어 있는 인덕션 특성상 다이얼은 탈부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하는데, 가격대가 높습니다. 다시 말해 가장 고가 라인에 적용되는 것이 다이얼 방식입니다. (본체가 프리스탠딩으로 되어 있는 1구 ,2구 인덕션은 다이얼 방식이 많습니다.)

정리하면, 터치 방식도 원터치로 조작이 가능하기에 불편함을 느낄 수준은 아니며, 다이얼 방식이 편리한 건 맞지만 대부분 고가 제품에 적용되는 프리미엄 방식이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2023.03.20

답글달기

좋아요 0

박찬우 Park

신고

1. Sk매직의 IHR-BF300을 보고 있는데 베스트 픽과 비교해서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화력은 BF300쪽이 더 강해보이는데 베스트 픽과 비교해서 어떤지 궁금합니다. 

2. lg전자의 인덕션은 일정 온도가 되면 과열방지가 작동해서 지속적으로 음식을 조리하는데 무리가 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실제론 어떤한지 궁금합니다.

2023.03.07

답글달기

좋아요 1

답글 1개 더보기

Profile Image
Comment Profile Image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박찬우님 노써치 전기레인지 담당 CM 입니다. 

1.
문의 주신 IHR-BF300은 화력면에서는 최고 수준의 제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화구는 물론 중화구와 소화구까지 3000W 이상의 출력을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름도 올파워 입니다.)

다만 그 만큼 가격이 비싸지기도 하고, 대화구를 제외하면 중화구와 소화구는 2000W 이상만 되더라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기도 합니다. 또한, 각 화구의 출력이 높아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출력은 3400W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모든 화구를 최대 출력으로 사용할 수 없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그래서 성능과 가격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현재 픽 제품을 선정했습니다.

그러나 어떤 화구를 사용하더라도 매우 강한 화력을 사용하고 싶다면 문의 주신 모델이 좋은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2.
LG 뿐 아니라 대부분의 제조사는 인덕션에 과열방지 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전기레인지 과열로 인한 화재 사고를 막기 위해 필수적으로 탑재하는 안전기능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LG 만의 특징이라 보기는 어렵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3.08

답글달기

좋아요 0

류현석

신고

안녕하세요. 인덕션2구 하이라이트1구로 된 3구 제품구매하자고 합니다. 같은 3구제품이라도 가격대가 다양하더라구요. lg제품으로 추천 부탁드립니다.

2023.01.07

답글달기

좋아요 0

달아범

신고

혹시 1구짜리는 추천하실만한게 없을까요? 인덕션/하이라이트
휴대성은 고려하지 않습니다(다용도실에 두고 쓸 용도라서)

2022.12.12

답글달기

좋아요 0

답글 1개 더보기

Profile Image
Comment Profile Image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달아범님 전기레인지 담당 CM 입니다.

1구 인덕션은 저가형 제품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다만, 모든 제품들의 제조가 중국에서 이루어지기에 장기간 사용할 생각이라면 추천 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추천 드릴 브랜드는 삼성, LG, 린나이, 쿠쿠 정도인데
소비전력과 출력은 모두 동일합니다.

이 중 가장 추천 드릴 브랜드와 제품은 3가지 정도로 뽑을 수 있는데,
1. 삼성 더 플레이트 1구 : 12~13만원
깔끔한 디자인과 31x32의 면적이 어디에 두어도 공간효율이 괜찮습니다.
출력은 2,000W로 일반 3구 인덕션의 중화구 정도의 화력입니다.
다이얼 방식으로 조작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고, 상판 브랜드는 가장 인기있는 SCHOTT사 제품입니다.

2. LG 포터블 1구 인덕션 디오스 HEI1V9 : 9~10만원
출시된지는 오래 되었지만, 큰 개선이 없는 1구 인덕션 특성상 아직도 LG는 이 제품 하나로 1구 인덕션을 대표하고 있습니다. 출력, 상판재질 모두 삼성 더 플레이트와 동일한데, 가격은 2~3만원 정도 더 저렴합니다.

차이가 있다면 면적이 30x41cm 로 세로로 길쭉하다는 것입니다. 이는 터치식 조작부가 있기 때문인데,
만약 다이얼 방식을 선호한다면 삼성 제품을, 터치 방식을 선호한다면 LG를 추천드립니다.
또한, LG는 검은색 밖에 없습니다.

린나이는 이들 제품보다 저렴하지만 출력이 더 낮고, 
쿠쿠는 삼성의 디자인과 상당히 유사하지만(3구 인덕션은 비스포크와 판박이일 정도)
상판 브랜드가 NEG로 조금 밀립니다.

아주 저렴한 제품들은 고장에 대한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10만원 정도의 예산을 잡으시는 것을 추천 드리며, 
A/S가 원활한 대기업 제품을 권해 드립니다.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달아범님, 노써치에 많은 관심 가져주셔서 늘 감사하고 있습니다^^

연말 따뜻하게 잘 마무리 하시길 바랍니다!

2022.12.14

답글달기

좋아요 0

김유진

신고

삼성인덕션중 대화구가 동그란거랑 선이 있는거랑 뭐가 다른가요?
제품 NZ63B6527XW는 대화구가 동그란선이 있고
NZ63B8708XH는 대화구에 가로선이 있어요.
뭐가 다른지 모르겠어오.
저희집은 팬이라 냄비 28cm도 많이 써서 대화구에 큰 냄비도 얹을수있는걸 사야하는데
둘중 어느게나을까요?

2022.10.27

답글달기

좋아요 1

답글 1개 더보기

Profile Image
Comment Profile Image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김유진님 노써치 인덕션 담당 CM입니다.

중요한 부분을 잘 알아보셨습니다. 인덕션이 생긴 것이 비슷하면서도 참 헷갈리게 되어 있어 저도 조사할 때마다 곤혹스럽습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집에 그 정도 지름의 냄비나 팬이 많다면 동그란 선이 '두 개' 있는 것으로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삼성 인덕션은 기본적으로 대화구 지름이 21~23cm 에 맞춰서 나옵니다. 그런데, 듀얼링 확장형 화구라는 이름으로 28cm까지 확장되는 대화구로 출시되는 모델도 있는데, 이 영역의 표시를 동그란 원 2개로 표시해 놓은 것입니다.

삼성 뿐 아니라, 다른 브랜드의 인덕션도 동그란 원이 두 개가 있다면 확장형 화구로  27~28cm 정도로 확장되는구나 하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런 정보를 상세페이지에 적어놓은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어, 소비자들이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데 제조사에서 각 화구의 지름 정보를 전면에 표기해 놓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그래도 삼성의 경우는 매우 친절한 편입니다 ㅎㅎ. 더 정확한 각 화구의 지름을 알고 싶으시다면, 삼성의 경우 상세 페이지 밑에 설명서를 다운 받으시면 가장 마지막 페이지 쯤에 규격이 나와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10.27

답글달기

좋아요 0

treest****

신고

인덕션 lg제품이나 밀레 중에 고민인데 어는 회사 제품이 나을까요?

2022.10.22

답글달기

좋아요 0

답글 1개 더보기

Profile Image
Comment Profile Image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노써치 인덕션 담당 CM 입니다.

밀레의 네임밸류가 워낙 뛰어나다 보니 고민이 되실 겁니다.
어려울 건 없습니다. 어떤 제품이 더 뛰어나다 판가름 할 수 없을 정도로 두 브랜드 모두 성능이 우수하거든요
다만, 이 차이를 염두에 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전체 동시 출력으로 인한 배선 공사
밀레는 국내 허용 전력량으로 제품이 나오지 않기에, 7,000W 이상의 높은 총 소비전력을 사용합니다.
우리나라 가정은 3,400~4,000W 정도의 전력량만 허용하는데, 
그래서 별도의 배선 공사가 필요합니다. 당연히 비용도 추가 됩니다. 
LG 제품은 국내 실정에 맞추어 나오기 때문에 3,400W를 넘어가지 않는 제품으로만 현재 출시 중입니다.

2. 그로 인한 개별화구의 화력 차이
이런 이유로 당연하게도 밀레 제품의 화력이 셀 수 밖에 없습니다. 
단, 이것은 동시에 여러개 화구를 강한 화력으로 사용하냐의 문제인데,
하나의 화구만 사용했을 경우에는 차이가 미미합니다.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3구 제품을 예로 들면,
화구 하나만 사용했을 경우 :
LG 1번 화구 최대 출력 3,400W
밀레 1번 화구 최대 출력 3,400W
이렇게 됩니다, 
그런데 3구를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
LG 1번화구-1,500W / 2번-1,000W / 3번-900W
밀레 1번화구-3,000W / 2번-2,000W / 3번-2,000W
이런 식으로 총 소비전력 하에서 제품 별로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분배 됩니다.
(이건 예시일 뿐이며, 실제로는 제품마다 모두 다릅니다.)

즉, 정리하면 개별화구의 최대 출력은 3,300~3,400W 수준이라 
하나의 화구만 사용할 때는 차이가 없지만, 
여러 개의 화구를 동시에 사용할 때는 밀레의 제품이 뛰어나다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가정에서의 사용기를 살펴보면 셰프나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모든 화구를
매우 강한 화력으로 동시에 사용할 일이 희소하다 판단 됩니다.
때문에 환경과 기호에 따른 판단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A/S
LG 제품은 국내 제품인 만큼 부품수급이나 서비스를 받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합니다.
또, 케어십 서비스(핸드폰 파손 보험 같은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를 가입할 수 있는 점도 메리트입니다.
밀레는 전 제품에 대해 2년 보증을 하고 있지만, 아무래도 국내 대기업에 비하면
접근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판단 됩니다.

4. 색상
밀레는 전 제품이 어두운 계열이 많습니다.
LG도 그랬으나, 현재 밝은 주방의 트렌드에 맞추어 오브제 컬렉션에 한해 
화이트 톤의 제품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인테리어까지 고려한다면 이런 차이점도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정도 차이점을 생각해서 판단하시면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10.24

답글달기

좋아요 0

1
2
3
4
5
6
7
8
9
10

노써치픽

다른 타입의 전기레인지도 확인해 보세요! ✔

맞춤추천

마음에 드는 제품을 찾지 못했나요?

electric_cooktop

나에게 딱 맞는 전기레인지
골라서 추천해드릴게요.

추천

구매가이드

스토어

마이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