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미생물발효식 음식물처리기
Jason
업데이트
음식물 처리기는 여러 타입이 있지만,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분쇄건조식, 미생물식(독립형), 디스포저식(습식분쇄+미생물) 이렇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미생물 방식은 별도의 설치가 필요없고, 언제든 음식물을 버리면 알아서 분해되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고, 감소율이 95% 이상으로 거의 소멸하며 퇴비로도 사용이 가능해 친환경적입니다.
미생물과 배기필터는 관리만 잘해주면 반영구적인 점도 매력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22년 이후로는 분쇄건조식을 제치고 가장 있기있는 음식물처리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다만 제조사별 미생물의 능력 정도를 비교하기가 어렵고, 탈취 방식도 이온산화와 필터를 이용한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차이를 명쾌하게 밝히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품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리뷰나 후기를 보다 면밀히 참고 했으며 판매량을 바탕으로 한 검증된 후기가 많은지, 크리티컬한 단점 후기가 적은지를 중점으로 조사했습니다.
그 외 부가적인 편의사항과 디자인 제품 크기 등을 함께 판단하여 23년 4월 기준 판매중인 40여종의 제품을 비교 분석하여 선정했습니다.
❌
어떠한 대가도 받지 않았습니다!
제품협찬, 광고비 등 어떠한 대가도 받지 않았으며, 철저하게 소비자 입장에서 23년 4월 기준 판매되고 있는 40여개 제품을 비교하였습니다.
🔍
핵심성능을 스펙과 후기를 통해 검토!
제조사의 스펙정보, 공공기관의 전문자료, 실 사용자의 후기 등을 검토하였으며, 처리성능/용량/사용편의/가성비를 기준으로 추천제품을 선정하였습니다.
노써치픽 📌
음식물처리기 추천 & 리뷰 : 미생물 TOP 2
1
미생물발효식 베스트픽
미생물분해로 부피감소량이 뛰어남 2차 처리과정이 거의 필요하지 않음
가장 먼저 추천하는 제품은 미생물 발효식으로 가장 유명한 린클 입니다. 미생물 발효식 제품은 본체의 스펙 차이가 큰 의미가 없을 뿐 아니라 차이도 거의 없는 특성상 실사용 후기와 가격이 좋은 제품을 선정하는 가장 큰 판단 기준이 됩니다.
그런 면에서 린클은 가장 훌륭한 제품입니다. 판매량과 검증된 후기가 가장 많고, 그 안에서도 단점이나 후회섞인 평가를 찾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일일 처리량은 1.5kg 정도로 3~4인가족이 사용하기 충분하며, 자외선 살균과 활성탄 필터를 활용한 탈취 성능도 뛰어나 냄새도 거의 없는 편입니다.
간혹 냄새가 심한 경우는 분해하지 못하는 음식물을 넣거나 처리용량이 초과된 경우가 대부분인데, 음식물을 제거해주고 1~2일 정도 미생물이 활성화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면 해결됩니다.
즉, 미생물 관리에 부주의가 이상 후기에 대부분이며, 미생물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하는 점이 제품의 유일한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같이 고려해 볼 만한 모델
한미프렉시블
린클 Prime300
60~72만원
모터 개선과 기능 추가 / 용량은 줄어든 모델
픽 제품의 다음 모델로 BLDC 모터로 소음을 조금 더 줄였습니다. 반면 내부 용량은 픽 제품의 21L 대비 14L로 줄였고 제품 높이도 5cm 정도 줄었습니다.
그리고 제품 하부에 센서를 탑재해 발이 가까이 가져가면 자동으로 뚜껑이 열리게 한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사용하는 미생물제제는 픽 제품과 동일하고 가격은 조금 더 저렴하므로,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많지 않고 편의성에 중점을 둔다면 고려해 볼 제품입니다.
지엘플러스
GL-020S
47~56만원
비슷한 용량에 더 저렴한 제품
20L 용량(MAX선 기준 17L)와 일일 최대 처리량 2kg으로 픽 제품과 비슷한 크기를 가지고 있는데, 가격은 더 저렴한 제품입니다. 후기나 판매량이 조금 부족하지만, 50만원 내외로 구매할 수 있다면 충분히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제조사는 지엘플러스로 동일하지만, 브랜드만 다른 비슷한 제품들이 있습니다.
롯데알미늄
에코제트 LFD-2000
79~95만원
이 제품들은 외형이나 지엘플러스와 동일한 제품이라 봐도 무방하며, 조작부 디자인이 조금씩 다른 차이만 있으니, 구매 시점에 가장 저렴한 제품을 고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미생물발효식 가성비픽
린클의 가격이 부담스럽다면 추천 컴팩트한 크기과 깔끔함이 돋보이는 제품
독립형 미생물방식의 제품 중 가장 저렴한 가격대가 매력적인 캐리어 클라윈드입니다.
미생물 발효식 제품은 교반작업을 위한 회전기능, 배양을 위한 온도유지, 탈취시스템 정도의 본체 스펙 비교가 가능한데, 대부분의 제품이 모두 비슷하며 그 차이를 면밀히 따지기도 어렵습니다. 또한 미생물의 음식물 처리 정도도 관리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엄밀한 차이를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사용 후기와 가격이, 좋은 제품을 선정하는 가장 큰 판단 기준이 되는데, 클라윈드는 뛰어난 판매량과 더불어 실사용 후기들에서도 성능과 탈취 등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 불만 후기가 거의 없어 믿을 수 있는 제품입니다. 또한, 40cm정도 높이의 컴팩트한 크기와 깔끔한 외관으로 생김새에 대한 호평도 많습니다.
현재 국내 음식물처리기 시장은 중소 제조사가 많은데, 신뢰도 높은 대기업에서 판매하는 제품으로 품질 및 A/S가 경쟁제품 대비 확실한 장점인 제품입니다.
타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미생물과 배기필터는 관리만 잘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교체 시 권장 주기는 1년이고 각각 5만원, 1.8만원 수준입니다.
정리하면 미생물 발효식 제품들은 비슷한 성능과 미생물 능력으로 인해 실사용 검증 여부가 중요한데, 픽 제품은 특별한 단점이 없으며 가격까지 가장 저렴한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성비 좋은 제품을 찾는다면 먼저 추천하는 제품입니다.
같이 고려해 볼 만한 모델
롯데알미늄
에코제트 LFD-1000
49~59만원
같은 제조사의 제품 1
외형과 조작부 디자인만 조금 다를 뿐, 같은 제조사에서 나온 동일한 스펙의 제품입니다. 따라서 구매 시점에 픽 제품보다 가격이 더 저렴하다면 고려해 볼 수 있는 제품입니다.
추천 제품 선정 시 고려한 요인
처리 용량
매일 사용하기 불편함 없는 용량인가?
제조사
판매사 달라도 제조사는 같은 경우가 많음
댓글65
목록 보기

이정준
신고
스마트웰 제품과 캐리어 클라윈드 중에 어떤걸 고르는게 나을까요? 2인가구고 베란다가 없어서 크기랑 소음은 작으면 좋을 것 같아요
나영
신고
스마트카라 제품도 종류가 많더라구요 400프로랑 400 두개 차이가 뭔가요? 어떤걸 사는게 이득일까요? 신혼부부 입니다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나영님 노써치 음식물처리기 담당 CM입니다. 400pro는 기존 400에 비해 1. 조금 더 밝은 톤의 화이트, 그리고 블랙 색상이 추가 된 점 2. 외관의 디자인과 조작부의 구성이 달라진 점 3. 작동 시간이 조금 더 짧아졌다는 점 정도가 개선되었습니다. 하지만 작동 시간이 짧아 진 정도는 구체적인 수치로 확인이 어려울 뿐 아니라, 크게 체감 될 정도로 극적인 개량이 이뤄지기 어렵기도 합니다. (분쇄 건조식의 작동 원리는 전기 밥솥을 떠올리시면 쉽습니다.) 그런데 400과 400pro의 가격 차이는 30만원 정도로 상당한 차이가 납니다. 따라서 디자인의 특별한 기호가 없는 이상 기존 400 제품을 추천 드릴 수 있습니다. 만약 400pro를 고려하실 정도로 예산의 여유가 있다면, 조금 더 큰 4L 용량의 에코체 ECC-888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같은 가격대입니다.) 두 분이서 생활하시더라도 음식물 쓰레기는 한 번에 많이 나올 수도 있고, 음식물 처리기에 대한 많은 후회 중 하나가 '조금 더 큰 용량으로 살 걸' 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정리하면 400과 400pro 중 고민하신다면, 그 고민의 방향을 용량으로 바꾸어 스마트카라 400과 에코체 ECC-888 중 고려해 본다면 좋은 구매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lin
신고
린클과 아이니아이제로, 비프록 화이트팟, sk매직 에코클린 고민중입니다 3인가구이며 많이 나오는편은 아닙니다 비용은 상관없고 가장 편리한것을 찾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lin님 노써치 음식물처리기 담당 CM입니다. 말씀 주신 제품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면 '미생물발효'식과 '분쇄건조'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가격 상관 없이 추천드리면 '미생물발효'식은 린클을, '분쇄건조'식은 SK매직 에코클린을 추천 드립니다. 1. 미생물 vs 분쇄건조 2차 처리 먼저 2차 처리가 간편한 것은 미생물식입니다. 처리된 음식물을 따로 버릴 필요 없이 완전 분해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반면 분쇄건조식은 바삭하게 처리된 음식물을 따로 수거해 버려야 합니다. 따라서 2차 처리의 편리함만을 생각한다면 린클을 추천드릴 수 있습니다. 2. 제품 관리 한편 미생물 관리까지 생각한다면 개인의 생활 패턴이나 성향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미생물을 죽지 않게 관리하려면 주기적으로 음식물을 투입해 주어야 하며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위해 24시간 제품을 작동시켜야 합니다. 만약 장기간 집을 비울 일이 잦다면 이럴 걱정이 없는 분쇄건조식이 편할 수 있습니다. 분쇄 건조식은 밥솥과 같은 작동 방식을 생각하면 되는데, 5~8시간 정도 작동 후에는 신경 쓸 일이 없으며, 음식물이 어느 정도 찰 때까지 보관했다가 작동시킬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이유에 따라 어느 것이 더 편리하다 잘라서 말할 수는 없으며 개인의 생활 패턴과 기호에 따라 선택 하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김현중
신고
혹시 푸드타파 제품은 어떤가요?
0922
신고
린클 그레비티랑 쿠쿠 노블이 새로 나왔는데 신제품 비교도 궁금해요~
♥슉♥
신고
씽크대에 설치하는 분쇄압축건조 제품 씽크365 베르디 쾌존 중에선 뭐가 제일나을까요??
답글 1개 더보기
노써치
신고
안녕하세요 슉님 노써치 음식물처리기 담당 CM입니다. 문의 주신 세 제품은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원 제조사 같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인데요, KC 인증 번호를 통해 확인 하면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보다 최신의 제품인 쾌존, 베르디 중에서 고민해 보는 것이 좋아 보이며, 두 제품은 외관부터 조작 방식까지 매우 흡사하기 때문에, 구매 시점 가격 조건이 더 좋은 제품을 고르시는 것을 추천드릴 수 있습니다.
댓글 더보기